병훈 의원, 「국가계약법 개정안」 대표발의

…“생명·안전과 관련된 시험성적서 위조자 공공 입찰자격 영구박탈 및 공표”

– 소병훈 의원“시험성적서 위조 부정당업자, 공공입찰 참여 및 수의계약 영구 금지”

소병훈 의원, 국토부 공식 발표 이후에도 KTX-산천 시험성적서 위조 A업체가

공항철도 입찰 참여한 사실 밝혀내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국회의원(경기 광주시 갑)이 안전시험성적서를 위조한 부정당업자의 공공입찰 참여 및 수의계약을 영구금지하고 해당 부정당업자의 정보를 공표하는 내용의『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하 ‘국가계약법 개정안)’ 을 대표발의했다.

국가계약법 개정안은 A업체가 KTX에서 안전시험성적서 위조가 위조되었다는 국토교통부의 공식 발표에도 또 다른 철도 관련 입찰 참여한 사건에 따른 후속 조치다.

2021년 8월 10일, 국토교통부는 A 업체가 코레일에 제출한 KTX-산천 열차 바닥재(카페트) 화재시험성적서 위조 정황을 발견했으며, A업체를 고발 조치하고 KTX 열차에 대한 전수조사와 바닥재에 대한 교체 조치를 할 것을 공식 발표했다.

하지만, A업체는 이같은 국토교통부의 공식 발표 및 고발 이후에도 8월 26일 공항철도 입찰에 참여했다. <붙임 1> 소병훈 의원은 2021년 국정감사에서 이같은 참여 사실을 밝히고 국민의 안전과 생명 보호를 위해 위조업체가 공공입찰에 참여하는 것을 제한시키는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강력히 요청했다.

한편, 국가계약법 현행법은 A업체와 같은 부정당업자에게 2년 이내의 범위에서 공공입찰 참가자격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부당업자에 대한 업체명, 부정당행위 등의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에 소병훈 의원은 국가계약법 개정안을 통해 ▲국민의 안전과 생명과 관련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안전성 시험 및 화재안전성능시험 등을 위조 또는 변조한 자에 대해서는 영구적으로 입찰자격을 박탈할 뿐만 아니라, ▲수의계약 체결 또한 금지하고 ▲위조 또는 변조한 자에 대해 공표하도록 했다. <붙임 2>

소병훈 의원은 “2003년 대구지하철 참사에서 화염 그 자체보다 열차의 내장재가 타면서 나온 연기가 주요 사망원인이 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대중교통의 인테리어 소재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므로 엄격하게 관리되어야 한다”며, “개정안을 통해 안전시험 위조성적서를 제출한 업체의 공공입찰 참여를 영구박탈시킴으로써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나가겠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소병훈 의원을 비롯해 김두관, 김민철, 김영호, 김한정, 안규백, 양향자, 윤관석, 정성호, 정태호, 주철현 등 총 11인이 발의했다.

보도본부 편집국

————————————————————————————————————————–

우리는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최고의 저널리즘 마인드를 가진 공익언론사를 지향합니다. 지난 십여년간 비영리 독립언론으로서 어떠한 광고나 마케팅도 하지 않고 묵묵히 우리사회와 구성원들을 지키기 위해 보이지 않는 곳에서 노력하고자 했습니다.

우리는 마음만 먹으면 각분야 공히 1. 2위권에 있는 정당이나 권력들 혹은 대기업들이나 인터넷기업들이나 모든 업체들을 반토막 만들수도 혹은 두배로 성장시킬수 있다는 허황된 이야기를 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관심은 오직 인류애와 동포애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5000만 국민의 온전한 행복한 삶이고 어떻게 하면 그속에 미력이나마 우리가 우리의 저널리즘으로 기여할수 있나를 생각하고 실천하고자 합니다. 

“ 내가 평생에 가장 소중하게 생각해왔던것은 권력이 아니다. 내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늘 실천하고자 노력했던것은 바로 진실, 그 진실을 찾고자 노력하는 것이다.”  이영희 대기자.

지난 시절 우리사회의 지성이셨던 이영희 대기자, 선배님의 말씀을 늘 가슴속에 담고서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언론사가 되겠습니다.

우리도 가난하지만, 광고나 후원은 주변에서 묵묵히 풀뿌리 언론의 발전과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노력하는 작지만 의미있는 우리 주변의 보통언론사들에 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우리가 받은것보다 두배는 더 기쁠것입니다. 모두가 나만 생각하는 우리사회에 이제는 ‘다정한 우리’를 함께 만들어 세계1등 국가와 행복한 사회를 만들도록 노력해야 할것입니다.

윤제훈 발행인

EDITOR

EDITOR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